본문바로가기

발간자료

[2020년 제34-4호] 11.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1-02-17
  • 조회수 : 683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Ⅴ. 결론 및 제안

 

  이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안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방향의 자치경찰제 도입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1,227명의 국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치 경찰 제도의 장점·단점, 조직공정성과 몰입, 자치경찰제 안에 대한 찬·반 의견, 이직 의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본적인 통계 산출 및 분석은 SPSS 18을 이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 분석,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분석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반대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할수록 자치 경찰에 반대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치경찰제도에 반대할 가능성이 크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자치경찰제도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치 경찰로의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분석하였을 때는, 자치경찰제도의 단점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치 경찰에 대한 치안 서비스와 인건비의 차이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찰공무원일수록 자치 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조직공정성과 관련해서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 규범·정서적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자치경찰로 이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컸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치경찰로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2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이 나타내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없다면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의 과정이 필요하다.